파격을 파하지 못함 > 설(舌)

본문 바로가기
Login
NancHolic.com 감나무가 있는 집 Alice's Casket 비밀의 화원 방명록
설(舌)
- 네 언어의 한계는 곧 네 세계의 한계를 의미한다 by Ludwig Wittgenstein
4437 bytes / 조회: 1,182 / ????.08.08 16:09
파격을 파하지 못함


 

 

첫번째 꼭지 '심청'을 읽고 잡설.

 

'파격'과 '고전'이라니 역설적인 조합이 재미있다. 아마 저자도 그런 효과를 바란 것이겠지만, 문제는 정작 저자는 '파격'을 쫓아가는 게 버거워 보인다는 것.

 

'효녀 심청'은 길동이의 호형호제만큼이나 오랫동안 박제된 프레임인데 저자가 효녀와 심청을 분리하려는 시도는 좋았으나 정작 골대 앞에서 자꾸 헛발질 하는 느낌.

 

장승상 댁 부인이 3백석을 대신 변통해주겠다 하고, 눈먼 아비가 못 보낸다 눈물 바람으로 붙잡는데도 기어이 뱃사람을 따라 나서는 심청. 그 이유도 가당치 않다. 뱃사람과 약속을 했는데 지키지 않으면 그들이 곤란해진다는 것. 이쯤되면 얘 어디 모자란가, 싶겠지만 심청에게서 '효녀'를 떼면 효녀 뒤에 가려진 진실이 보인다.

저자의 헛발질은 여기서부터. 심청이 왜 피할 수 있음에도 인당수에 뛰어들겠다고 고집을 부렸을까 기껏 의문을 던져놓고는 뜬금포 작중의 요소에 메타포를 부여하는 일에 집중한다. 그러니까 작가는 인당수에서 심연을, 맹인잔치에서 탈영토화를, 연꽃을 탄 심청이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에서 탈윤리를 끄집어내는데 그야말로 뭥미? 싶다. 참고로 모두 들뢰즈의 철학적 개념.

 

심청이 인당수에 몸을 던진 행위가 효가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건 좋았으나, 뒤이어 이를 '극단적 효행'으로 규정함으로써 저자는 결과적으로는 심청과 효녀를 분리하는데 실패한다. 저자의 말을 빌면 '파격'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늙고 눈먼 아버지는 철이 없고, 아버지가 기댈 곳이라고는 오직 어린 저 하나인데 이제 겨우 열다섯인 청이 입장에선 도통 미래가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게다가 이미 '효녀'로 방방곡곡 소문났으니 싫으나 좋으나 이 어린 소녀는 계속 효녀여야 한다. 그런 청이에게 인당수가 혹 탈출구는 아니었을까.

용왕과 옥황상제의 도움으로 심청은 다시 지상으로 돌아오지만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전국 맹인잔치를 연다. 저자는 맹인잔치의 의미를 맹인을 집 밖으로 불러낸 탈영토화로, 심학규가 맹인잔치에서 눈을 뜬 것을 기존 세계를 깨고 새로운 세계에 눈을 뜬 것으로 해석하지만 그런 메타포 해석보단 심청이 어찌하여 맹인잔치를 열었는지 의문을 가지는 게 우선이지 않을까. 공양미 3백석에 팔려간 심청은 왜 경로잔치가 아닌 맹인잔치를 열었을까. 심청은 제 아버지가 눈을 뜨지 못할 것을 알았던 것이다.

 

식자우환이랄까. 이따금 생각하는데 들뢰즈가 인문학적 지성의 저변을 확장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건 참 감사한 일이지만, 한편 식자들이 지나치게 들뢰즈를 남용하거나 오용하는 것을 너무 자주 본다. 천개의 고원을 넘지는 않고 봉우리 높이만 재본 게 아닐까 싶은 지식인들의 빈곤한 상상력을 보다 보면, 너무 거대한 지성은 오히려 어설픈 식자를 낳는 '악화'인가 싶을 정도.

한 예로, 굳이 인당수를 '모든 것이 유동적인 액체적 공간'으로 해석할 이유가 있나. 어차피 심청전의 작가는 들뢰즈의 '들'자도 모를 텐데. 심청전에서 중요한 건 오직 하나, 공양미 3백석이 사기인 걸 알면서도 인당수에 몸을 던져야지만 효녀의 굴레를 벗을 수 있었던 소녀가장 심청의 가난한 선택이다. 

 

뱀발_

들뢰즈가 moral과 ethic을 도덕과 윤리로 구분하고 행위의 결과를 도덕적 영역과 윤리적 영역으로 해석했다는 각주가 재미있다. 각주 내용은 도덕적 행위는 선과 악으로, 윤리적 행위는 좋다와 나쁘다로 가치판단을 한다는 것.

  

* 댓글을 읽거나 작성을 하려면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Total 394건 19 페이지
설(舌)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24 아끼는 음반 ??.06.17
123 CD 리핑 ??.06.21
122 최근 보관함 책들 ??.07.28
파격을 파하지 못함 ??.08.08
120 잡설 ??.08.09
119 존 업다이크 / 카프카 주문 후기 ??.08.10
118 작가의 펜 from '나눔의 세계' ??.11.10
117 보르헤스의 환상 이야기 ??.11.18
116 책 & 방송 잡담 ??.11.24
115 <썰전> 外 2 ??.12.02
114 드라마 잡담 外 ??.01.02
113 뉴스룸 신년 토론 요약 ??.01.02
112 [유툽] 장하준의 모두를 위한 경제학 강의 ??.01.08
111 대한민국이 묻는다, 문재인이 답하다 ??.01.25
110 이것저것 단상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