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과 결핍의 변증 『원도』 (스포) > Review

본문 바로가기
Login
NancHolic.com 감나무가 있는 집 Alice's Casket 비밀의 화원 방명록
Review
- 다문(多聞), 다독(多讀), 다상량(多商量)

12938 bytes / 조회: 111 / 2024.06.02 14:00
[도서] 상실과 결핍의 변증 『원도』 (스포)


20240602232706_d2b068ef1411442054f09b25844c9003_95yk.jpg

 

원도ㅣ최진영

 

 

 

 

20240602232212_b7438631b314f7f826d130b2d3fd2983_otyr.jpg

 

 

초판 제목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는 개정 복간되면서 <원도>로 바뀌었다.

초반 몇 페이지를 읽다가 생각했다. 초판 제목이 더 잘 어울리는데.

이 생각은 책을 읽는 도중에도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나서도 여전히 변함없다.

편집장의 결정이 아쉽고 선선히 동의한 작가의 결정도 아쉽다.


고집이 세고 예민한 아이였던 원도는 아버지의 사망 후 줄곧 자신에게 질문한다.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

 

상실과 결핍은 원도를 이루는 근원이다. 상실은 갖고 있던 걸 빼앗긴(잃어버린) 것이고, 결핍은 처음부터 없었던 것이다. 원도는 상실의 공포와 결핍의 외로움을 오가며 끊임없이 자신에게 질문한다.

나는 왜 죽지 않고 사는가.

 

원도의 상실과 결핍은 원도와 함께 성장한다.


(작가가 의도한 구도이겠지만) 원도에게 상실의 주체는 남성, 결핍의 주체는 여성이 역할을 양분하고 있다.

죽은 아버지와 산 아버지, 장민석, 야똘은 원도에게 책임과 선택이라는 질문을 던지는 동성이고 어머니, 유경이, 그녀, 아내는 원도로 하여금 나를 사랑하는가 질문하게 하는 이성이다.

이들 중 원도에게 최초로 상실과 결핍을 심은 두 사람은 어린 원도의 눈 앞에서 죽어간 죽은 아버지와 보육원 봉사 때문에 어린 원도를 방치한 어머니다. 그리하여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라는 원도의 질문은 존재의 근원으로 뻗어간다.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

나는 왜 살아있나.

나는 왜 죽지 않고 사는가.

 

대단원의 끝자락에 작가가 불쑥 독자에게 질문을 던진다.

'이런 인물이라면 차라리 죽는 게 낫지 않은가?' (p.239)

 

개인 감상이지만, 

원도의 결말에 같이 책임져달라는 회피로 보여 작가가 비겁하다고 생각했던 한 줄이었다.


 

20240603204434_d2b068ef1411442054f09b25844c9003_zht3.jpg

 

 

 

 

20240602135941_74a4ee9f58081751e6d6d7f3f3101cd7_i2a3.jpg

 

  

형식은 카프카, 내용은 다자이 오사무를 떠올리게 하는 <원도>는 가능한 한 호흡에 읽는 게 좋다. 아마도 사십 후반에서 오십 초반 쯤일 원도는 중증의 간경화를 앓고 있는데 경찰과 빚쟁이에게 쫓기는 병든 원도의 몸은 의식과 무의식을 끊임없이 불러들인다. 그런데 이 과정이 연속 불연속의 연장이라 꽤 집중을 요한다. 실제로 소설 초반부를 읽을 때 가장 지배적인 감상은 '끝말잇기를 읽는 것 같다'였다.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고, 행동하고, 책임져라'(p.58)는 소설 전체에 걸쳐 강박적으로 등장한다. 산 아버지, 장민석, 야똘의 입을 통해 원도에게 박혀드는 이 말의 원조는 산 아버지이지만 매번 원도를 극단으로 몰고가는 인물은 장민석이다. 소설에서 원도가 직접적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유일한 인물도 장민석이다. 

왜 하필 장민석일까. 

소설에서 장민석은 원도에게 상실과 결핍을 모두 자극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한편 원도에게 지향점이기도 한 장민석에 대한 원도의 감정은 애증에 가깝다. 이상형인 상대가 무형이었던 상실과 결핍을 매번 실체적으로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두 사람의 결말이 비극인 건 운명이다.

 

소설은 건너뛰지만 아마도 장민석을 해친 인물은 원도일 것이다. 이러한 결론에 이르게 된 정황 요소는 '야구 배트'. 사고가 벌어진 그 순간 장민석은 원도에게 장민석이면서 산 아버지이면서 어머니이면서 그녀였을 것이다. 상상하기로, 아마도 그 순간의 원도는 아주 잠깐이지만 자신의 내면 깊숙이 뿌리를 내린 상실과 결핍을 부수는 희열을 느끼지 않았을까.

    

 

20240602135939_74a4ee9f58081751e6d6d7f3f3101cd7_ri67.jpg

 

 

작중에도 작가 후기에도 등장하지 않는 화자의 이름 '원도'가 궁금하여 검색해보니 여러 검색 결과 중에 한유의 원도(原道)가 눈에 띈다. 이어령비어령이라고 그렇게 보니 그럴싸하다. 각설하고.

 

작가의 의도는 모르겠으나 <원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읽힌다. 하나는 종교적 방식, 다른 하나는 신화적 방식인데 종교적인 관점의 원도는 부모의 원죄를 뒤집어쓰고 태어나 살인을 저지르고 도망자가 된 카인을 연상케하고(이때 장민석은 아벨이다), 신화적 관점의 원도는 출생의 비밀과 직면하자 '태어나지 않는 게 가장 좋다'고 절규하며 스스로 두 눈을 찌르지만 결국 살기를 선택한 오이디푸스를 연상케한다. 

사실 나는 카인과 오이디푸스에게 연민을 느끼는 쪽인데 그들의 비극이 신에게 떠밀려 선택과 책임을 강요받은 결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원도도 그들과 처지가 다르지 않다. 원도의 인생을 시궁창에 밀어넣은 상실과 결핍은 애초에 원도의 부모에게서 비롯되었으며 정작 원도는 한번도 동의한 적 없는 자유, 선택, 책임이라는 명분에 내몰려 원도는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방치된다. 하물며 원도의 상실과 결핍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어머니는 결정적인 순간 원도가 최초로 던진 질문에 제대로 대답조차 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좀 의외로웠던 일... 사실 완독 직후에 나는 원도에게 일말의 동정도 연민도 느끼지 않았는데 리뷰를 쓰면서 원도를 향한 감정이 조금 바뀌었다. 누군가(아마도 신이겠지) 미리 값을 설정해둔 시스템에 던져져 좌우 뒤를 돌아볼 생각도 못하고 앞으로 앞으로, 그 끝이 절벽인지도 모르고 성실하게 걸어갔구나 싶은 것이다.

아직 언어를 배우기 전 예민하고 사나운 원도의 기질에 소설 속 자아임에도 질리는 기분이었는데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원도가 떼를 쓰고 울고 고집을 부리는 매순간이 나를 버리지 마라, 나를 봐달라 호소하는 간절함이었겠구나 싶다. 

 

어떤 인간에겐 삶과 죽음의 중간 과정이 그 자체로 불가항력일 수도 있다.


 

20240602135938_74a4ee9f58081751e6d6d7f3f3101cd7_zrhy.jpg

  

20240602135937_74a4ee9f58081751e6d6d7f3f3101cd7_zs28.jpg

 

 

<원도> 완독의 시작과 끝.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전날 10여 페이지 읽고 덮었던 <원도>를 완독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하여 침대에서 빠져나온 그대로 베란다로 직행, 서늘한 오전에 시작해 뜨거운 오후에 독서가 끝났다.

 

시간이 지나 다른 시기, 다른 상황, 다른 나일 때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아마도 그때는 원도를 좀 더 넓게 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여담_

책을 읽는 도중에 불현듯 뜬금포 'M은 이 소설을 절대로 안 읽겠구나' 했다. M은 원래 소설이든 비소설이든 책의 형태를 한 것이면 그게 뭐든 안 읽지만 새삼스레 확신했다. 아울러 순문학은 읽는 독자가 대단하고, 장르문학은 쓰는 작가가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다.

  

 

 

 

뭔가가 나를 뚫고 지나갔어. 그게 뭔지는 모르겠는데 확 지나가버렸는데 여기 구멍이 있어. 여기로 자꾸 아픈 바람이 불어와. 여기 있어야 할 게 없어. 내 몸에 이게, 이게 대체 뭐야 엄마. 원도가 운다. 무서워서 운다.

-p.67

  

자살은 죽음의 형식일 뿐 내용이 아니다. 내용에 대해서는 모두들 입을 다물었다.

-p.78


태아처럼 몸을 둥글게 만 채 잠든 원도.

(…)

원도가 운다.

목 놓아 운다.

-pp.84-85

  

죽은 아버지의 죽음에서 시작된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라는 질문은 결국, 내가 되어서 너는 모른다 그것을 알아내라는 죽은 아버지의 저주 같고, 아니 너는 그것을 영원히 알 수 없다 알 수 없을 것이라는 저주 같고, 나는 정말 알 수 없어요, 아버지. 그렇지만, 그렇더라도, 만족스러웠던 순간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너무 찰나여서 거짓말 같을 뿐. 그런 순간도 있었다. 마음 한가운데, 빗방울보다도 작은 그 공간이 채워졌다 믿었던 순간. 아니, 그 공간이 사라졌다 믿고 싶던 순간들.

-p.93

* 댓글을 읽거나 작성을 하려면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Total 169건 12 페이지
Review 목록
번호 분류 제목 날짜
4 도서 '그리고 한 문장이 남았다 그 문장을 읽고 또 읽었다' 24.05.20
도서 상실과 결핍의 변증 『원도』 (스포) 24.06.02
2 도서 의미와 무의미의 소묘 『보통 이하의 것들』 24.06.04
1 도서 에꼴 드 경성 『살롱 드 경성』 24.06.11